국내 코로나19가 확산하던 지난 2월 말부터 한국발 입국금지 국가가 늘어나며 수세에 몰렸던 외교부. <br /> <br />[이태호 / 외교부 2차관 (지난 2월 27일) : 외국의 갑작스러운 입국제한 조치로 인해 우리 국민이 외국 입국 과정에서 뜻하지 않은 불편을 겪으시게 된 것에 대하여 안타깝고 또 송구스러운 마음입니다.] <br /> <br />한 달도 안 돼 '코로나19 방역 선진국'으로 위상이 반전됩니다. <br /> <br /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(지난 3월 16일) : 검사가 가장 중요한 이유는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. 그로 인해 코로나19 확산을 최소화하고 확진자들이 신속하게 치료받을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'국경 봉쇄' 대세 속에서도 투명성, 민주성, 개방성이라는 세 가지 원칙을 유지한 점이 높이 평가됐습니다. <br /> <br />서구 민주주의 국가가 정의하는 이른바 '나쁜 국가'의 반대 예시로 환영받은 겁니다. <br /> <br />[사이먼 스미스 / 주한영국대사 (지난 8일) : 영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은 한국의 성공으로부터 매우 귀중한 교훈을 배웠습니다. 한국은 확실히 세계의 주목을 끌었습니다.] <br /> <br />외교부는 이 기회에 '책임 있는 중견국'으로서 국제사회 담론을 주도할 틀도 만들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뉴욕에 있는 유엔과 스위스 제네바의 세계보건기구, 프랑스 파리의 유네스코 회원국을 상대로 '우호그룹' 구성을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십 개국이 동참 의사를 밝힌 가운데, 이번 주 뉴욕에서 유엔 우호그룹이 첫 회의를 열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함상욱 /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 (지난 8일) : 세 군데서 추진하고 있는 우호그룹 중에 제일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건 사실은 유네스코입니다. 국제사회의 담론을 만들어가고 그것을 주도해 가는 역할을 하는 데 낄 수도 있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하지만 백신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에 미국과 러시아가 참여하지 않는 등, 국제 지도력 부재 속에 우리의 '중견국 외교'의 효능에 대한 고민도 있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[구갑우 /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(지난 8일) : 미중 갈등이라든지, 이런 것을 제어하고 중재할 능력, 그리고 완전히 형해화된 국제 경제 제도를 재설계할 수 있는 능력, 이런 것에 대한 훨씬 더 깊은 고민 있어야 하는 시점 아닌가….] <br /> <br />취재기자: 장아영 <br />영상편집: 고창영 <br />자막뉴스: 박해진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0051113163352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